소량판촉물
소량판촉물
Blog Article
전문 심리학자가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거나 반대로 스트레스를 키우는 수면 자세 5가지를 밝혔다.
미국 필라델피아 앤코라 정신병원의 임상 심리학자인 카일 오스본 박사는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과의 인터뷰에서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이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스트레스는 수면에 영향을 미치고 수면 부족은 스트레스를 악화시킨다"고 말했다. 이어 "신체와 정신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명확한 지표라고 말하는 일반적인 수면 자세가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옆으로 자는 것이 가장 좋은 자세라고 말하지만, 스트레스를 받을 때는 플라밍고나 나무타기 같은 자세로 몸을 비틀 수도 있다고 한다.
미라 자세= 수의를 입은 미라와 비슷하게 다리를 쭉 뻗고 팔을 가슴 위로 교차한 채 등을 대고 누워 있는 자세다.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줄이고 척추 정렬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가슴 위로 팔짱을 끼고 뻣뻣하게 자는 것은 불안, 방어적 또는 좌절감을 느끼고 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팔의 위치는 편안함에 대한 갈망이나 자신을 보호하려는 잠재 의식적인 시도를 보여줄 수도 있다. 또 잠재적으로 내면에 스트레스나 불안이 있음을 시사한다.
나무타기 자세= 엎드려서 팔을 90도로 뻗고 한쪽 다리를 역시 90도로 위로 당기는 자세이다. 근본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근육이 긴장돼 편안한 수면 자세를 찾기 어렵고, 엎드려 자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로 인해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악화, 허리나 목 통증 등 기존의 건강 문제가 악화될 수도 있다. 또 얼굴이 베개에 닿게 돼 주름이 더 생기고 노화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 팔을 머리 위로 비스듬히 올려놓고 자면 신경이 압박돼 손이나 팔에 마비나 따끔거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베개 겹치는 자세= 베개를 모두 목 밑에 두면 편안함을 느낄 수 있고 산성 역류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스트레스와 피로, 정신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머리를 너무 많이 들어 올리거나 베개를 너무 많이 사용하면 목 통증이 생길 수 있으며 이는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베개를 하나만 사용하고 자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한다. 베개를 하나만 사용하면 머리가 약간만 올라가서 머리와 목이 일직선이 되기 때문이다.
태아 자세= 자궁 속 태아처럼 다리를 굽히고 팔은 몸에 두르거나 가슴에 꼭 얹은 채 옆으로 자는 자세이다. 혈액 순환을 개선할 수 있지만 예민함과 불안감을 나타낼 수도 있다. 그러나 관절에서 지속적인 굴곡이 발생해 무릎과 엉덩이 주변 인대에 염증이 생겨 무릎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극심한 스트레스에 직면하면 몸은 자연스럽게 스스로를 진정시키는 태아 자세를 취하는데, 이는 유아가 하는 것과 비슷하다. 즉 사람이 무의식적으로 스스로를 진정시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터프츠 의료 센터 수면 센터의 아르티 그로버 박사는 "태아 자세로 자는 사람은 불안감을 느끼고 위로가 필요한 사람들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플라밍고 자세= 한쪽 다리를 구부려 몸쪽으로 당기고 다른 쪽 다리는 똑바로 뻗은 채로 등을 대고 자는 자세이다. 야생에서 플라밍고가 자는 방식과 같다.
척추 정렬에 도움이 되고 특정 부위의 압박을 줄여주기 때문에 편안하고 느긋하지만, 스트레스가 심해지거나 신경계 활동이 활발해진 신호가 될 수도 있다.
잠재적으로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유발할 수 있다. 때로는 산성 역류를 일으킬 수도 있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 수면 전문의 로이스 크란 박사는 "많은 사람들이 관절에 무게가 실리지 않기 때문에 편안하다고 느끼는데 혀와 턱이 아래로 떨어져 기도를 막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몸은 코르티솔을 분비한다. 코르티솔은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의 반응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호르몬이다. 코르티솔은 수면-각성 주기를 조절하는 것 외에도 신진대사를 조절하고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장기간 코르티솔 수치가 높거나 소량판촉물 만성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이러한 과정이 방해를 받아 염증, 만성 통증, 불안, 우울증이 생기고 심지어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이 진행될 수도 있다.
수면과 스트레스 사이의 이러한 연관성은 신체가 제대로 수면을 하는 데 도움이 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생성을 방해할 수도 있다. 멜라토닌의 양이 적으면 불면증과 같은 수면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